국가연구개발사업 3

2025년 연구비관리시스템 통합연계모듈 설명회 생생 후기

안녕하세요! 연구개발기관에서 연구비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여러분, 반갑습니다. 오늘은 정말 중요한 정보를 공유해 드리려고 하는데요,바로 2025년 4월에 열렸던 「2025년 연구비 통합연계모듈 설명회」따끈따끈한 후기입니다! 이번 설명회는 통합 RCMS와 통합 이지바로(Ezbaro) 시스템의 연계 모듈이 하나로 합쳐지는,그야말로 연구비 관리의 대격변을 예고하는 자리였는데요.연구개발기관 담당자분들이라면 앞으로 어떻게 대비해야 할지,어떤 점들이 달라지는지 궁금하실 텐데요. 설명회 핵심 내용을 알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하나, 왜 통합연계모듈인가? 기존 시스템, 뭐가 문제였길래?사실 그동안 RCMS의 기관 연계는 꽤 오랫동안 운영되어 왔죠.(C타입, D타입, R타입까지...) 하지만 기존 시스템에는 몇 가..

R&D과제에서 말하는 과제의 2가지 종류(기획,연구)

국가연구개발사업에 대해 들여다보면 "과제"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하빈다. 왜냐하면 "과제"가 기본적인 관리대상의 단위이기 때문인데요, 보통 "과제"라고 부르면 연구과제(협약하는 대상)를 말하는데, 가끔가다가 기획과제를 특정하기도 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기획과제는 그냥 RFP라고 부르곤하는데, 그렇지않으면 구분이 안되기 때문입니다. 이게 다들 통일하면 좋겠지만, 과제기획팀에서 말하는 과제는 기획과제이고 연구관리팀에서 말하는 과제는 연구과제다보니까 서로 "과제"에 대해서 저한테 물어보면 저도 팀 소속을 보고 유추하곤 합니다. 좀만 확인하면 알 수 있는 건데, 나중을 위해서 비교표 만들어봅니다~ 구분 기획과제(RFP) 연구과제 정의 연구개발사업 공고에 들어가는 RFP를 만들기 위한 전문기관에서 작성하는 과제 ..

국가 R&D 성과관리 업무...만만치 않습니다.

그 동안 국가 R&D 평가관리 중심으로 공부를 했었습니다. 이제 성과관리쪽도 관심이 가게되어서 보니까 여기도 절대 만만치 않은 영역입니다. 매년 R&D 사업별 과제단위로 다양한 성과지표에 대하여 조사를 합니다. 조사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정말로 맞는지 일일이 검증을 하는데 과제별 기관별로 나뉘면 정말 확인해야하는 사항이 많습니다. 시간이 많이 걸리는 부분이고 이후에는 과제단위가 아닌 사업단위로 조사분석평가를 받게 되는데 누락된 데이터에 대하여 또다시 검증의 시간이 걸립니다. 그 외에도 사업별 평가가 있고, 예산요구가 있고..참 만만치 않아 보이는 부분입니다. 이런부분에 대하여 AI 또는 RPA와 같은 기술을 통해서 검증을 자동화하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다만, AI, RPA 기술 자체가 100% 완..